Docker02. 도커 설치
도커 설치

도커 홈페이지에서 설치 https://www.docker.com/

명령프롬프트에서 docker를 검색해보면 관련된 사항들이 출력된다.
- docker run -it —name encore ubuntu:18.04→ docker라는 가상머신에서 encore라는 이름의 우분투 ver.18.04를 실행할 것이다.
- 도커는 도커허브라는 사이트에서 패키지를 다운받아 와서 쉽게 실행가능하다.→ https://hub.docker.com/
- 분석환경을 도커이미지로 담은다음 도커이미지로 가져가면 설치가 간편해진다.
도커에서 파이썬 실행
도커허브에서 python3는 없기 때문에 아나콘다를 설치하여 파이썬을 실행해야한다.
아나콘다는 무겁기때문에 미니콘다를 설치한다.
docker 에서 미니콘다 설치하는 방법
- apt update : 시스템 패키지 관리자에 대한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
- apt install wget : wget 패키지를 설치wget 패키지는 웹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이다.
- wget https://repo.anaconda.com/miniconda/Miniconda3-latest-Linux-x86_64.sh: wget을 사용하여 Linux용 미니콘다3의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(sh는 쉘스크립트 파일)

설치된 파일 확인법
- ls를 입력해보면 현재 설치된 파일이 나온다.
- ll도 현재 설치된 파일들을 보여주는데 ls와 ll의 차이는 정렬의 차이인듯하다
미니콘다에서 파이썬 접속
- 먼저 미니콘다로 접속해야한다.→ cd ~/miniconda3

- 미니콘다에 파이썬이 있는지 확인→ bin
- → ./python

- 파이썬 유무를 확인했다면 나가자.→ exit()
- → ctrl + d → 컨테이너 종료

추후 웹배포할때도 도커사용할 예정이며 모델을 장고에 올려서 보여줄 예정이다. (23.4.3~장고설치중)
docker run -it --name encore2 -p 9000:8888 ubuntu:18.04
도커를 실행하는데 name은 encore2로 설정한다.
포트는 9000번과 8000번을 이어준다.
각 프로그램별로 사용하는 포트가 나눠져 있는편이다.
8888포트는 주피터 노트북이 사용
3306 mysql
1221 oracle



apt update 를 실행해주고 wget 과 vim을 설치한다.
apt install
wget https://repo.anaconda.com/miniconda/Miniconda3-latest-Linux-x86_64.sh
위치가 잘못되거나 권한때문에 오류나는경우가 많다.
따라서 내가 누군지와 나의 위치를 확인자주 해주는게 필요하다
- 사용자 확인 whoami
- 현재 위치 확인 pwd
- 현재 폴더의 파일 목록 ls-al

# sh파일 실행하는 방법
chmod +x ./Miniconda3-latest-Linux-x86_64.sh
./Miniconda3-latest-Linux-x86_64.sh
ch ./Miniconda3-latest-Linux-x86_64.sh
yes를 다해준다.
vim ~/.bashrc

insert모드에서 애가 맛이가서 다시실행했다.

도커를 껐을때는 attach를 이용하여 재접속할 수 있다.

export PATH=/root/miniconda3/bin:$PATH
를 사이에 적어놓는다.

:wq로 저장후 나가기하기

파이썬 설치 완료

pip intsall jupyter
파이썬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주피터 설치가 가능해짐.

주피터 노트북 파일을 생성.
환경파일이다.
빔으로 열어보면 엄청 길다.

:q로 나간다.
온라인으로 하면 패스워드가 필요함/
리눅스 정책상 패스워드는 쳐도 보이지 않는다.
- ipython 입력
- from notebook.auth import passwd 패스워드 모듈을 임포트
- passwd() 패스워드를 설정한다.

비밀번호 텍스트로 저장해놓자…
exit()
수정하는 부분은 주석을 해제해야한다.
vim /root/.jupyter/jupyter_notebook_config.py
# 주석 해제
명령어 : 136
allow_origin = "*"
명령어 : 469
위에서 복사한 password 를 붙여넣는다.
명령어 : 450
c.NotebookApp.notebook_dir = '/root/workspace/'
458
c.NotebookApp.open_browser = False


ctrl + c / y 를해서 나와주고
jupyter notebook --ip=0.0.0.0 --allow-root
를 입력


뭔가 오류가 있는지 비밀번호 설정이 안되어있음.
token을 활용하여 아래 사이트에서 다시 비밀번호를 설정해준다.

openpose라는 모듈 사용하면 굿
openpose-docker를 제공한다.
WSA2 그래픽 설정.